티스토리 뷰
목차
자기앞수표 조회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자기앞수표 조회 방법뿐만 아니라 자기앞수표 유효기간 정보도 같이 알려드리고 있습니다. 이 포스팅을 차근차근 읽으시면 자기앞수표 조회 방법 과 자기앞수표 유효기간 정보에 대해 알아가실 수 있습니다. 자기앞수표 조회 방법 과 자기앞수표 유효기간 정보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읽어 주시길 바랍니다.
자기앞수표
자기앞수표 무엇일까요? 자기앞수표는 은행에 예금을 하고 있는 법인 또는 개인이 그 은행으로부터 통화(지폐,주화)를 인출하는 대신에 수표로 인출하고자 하는경우 은행에서 발행하는 수표를 말합니다. 자기앞 수표는 발행해 준 은행이 부도가 나 운영이 불가하기 전까지는 지급이 되고 있습니다. 현재 10만원 ,50만원 100만원, 비정액권 자기앞수표가 유통되고 있습니다.
자기앞수표 조회
자기앞수표 조회 어떻게 할까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수표가 정상적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조회를 해야 합니다. 수표는 3가지 방법으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첫 번째로 ARS, 두번째로 은행 홈페이지,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어플을 통해서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 방법인 ARS를 활용한 방법은 1369로 전화를 걸고 안내 순서대로 따라 해 수표 번호를 눌러주시면 어떤 수표인지 알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방법인 홈페이지를 활용하는 방법은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은행 홈페이지로 접속하여 수표 조회 카테고리 칸에 들어가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조회 시 수표 우측 상단 8자리와 하단 발행점 번호가 필요하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세 번째 방법인 어플 사용방법은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어플을 사용하여 조회가 가능합니다. 모바일뱅킹이 대중화된 시대 자신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에는 은행 어플들이 하나씩을 깔려 있습니다. 이 어플 내 서비스를 활용하여 수표를 조회가 능합니다. 은행 어플 내에서 수표조회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조회가 가능합니다. 챗봇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도 있으니 잘 모르시는 분들은 챗봇을 통해 검색하시면 편리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자기앞수표 유효기간
자기앞수표 유효기간 생각보다 길지 않은 유효기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발행일로부터 10일이라는 유효기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유효기간 내에 사용하지 못했다고 사라지는 건 아니라고 합니다. 10일이 지나도 사용할 수 있지만 발행한 은행에서 5년 안에 찾지 않는다면 미청구 수표로 분류되어 잡수익으로 처리가 된다고 합니다. 발행한 은행 외 다른 은행의 수표로 변경할 경우 장당 1천 원의 수수료가 붙게 된다고 합니다.
▼이 블로그에서 많이 본 글▼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업급여 계산기와 실업급여 수급기간 알아보기 (6) | 2021.02.25 |
---|---|
경찰 계급 과 경찰계급표 알아보기 (5) | 2021.02.23 |
자동확산소화기 K급 소화기 알아보기 (6) | 2021.02.17 |
불꽃신호기 자동차 사고예방 필수용품? (9) | 2021.02.16 |
로또 948회 당첨번호 21년 01월 30일 (0) | 2021.02.01 |